HWP문서붙임2-2. 대학알리미공모전_양식_논문 부문_논문요약서및논문양식(예시).hwp

닫기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관계 3

2018년 대학알리미 활용 공모전 (논문 부문)

제출양식 작성요령

1. 원고 작성

원고는 한글 또는 MS word로 작성하여 제출(한글 2010, Word 2010 이상 권장)

원고는 한글 및 영문으로 작성함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에 혼동 가능성이 있을 경우 ( )안에 한 자 및 원어를 써 넣을 것

원고 분량은 A4용지 20페이지 이내로 작성할 것

2. 표지 편집

- 표지 초록의 분량은 국문 및 영문 모두 여백포함 700자 이내로, 용지의 여백은 위 40, 아래 35, 오른 쪽 35, 왼쪽 35, 머리말 13, 꼬리말 10, 제본 0으로 하며, 그 외 표지의 편집 규정은 다음과 같음

구분

글자

문단

논문제목

HY견명조 15, Bold

장평 95, 자간 –5, 가운데정렬, 줄간격 160

성명

신명조, 12

장평 100, 자간 11, 가운데정렬, 줄간격 160

소속

HY신명조, 11

장평 95, 자간 –5, 가운데정렬, 줄간격 160

초록

HY신명조, 11

장평 95, 자간 –5, 가운데정렬, 줄간격 160

초록내용

HY신명조, 9

장평 95, 자간 –5, 혼합정렬, 줄간격 160

주제어(5개 이내)

HY신명조, 9

장평 95, 자간 –5, 혼합정렬, 줄간격 160

주저자 등

그래픽, 8.5

장평 95, 자간 –5, 혼합정렬, 줄간격 130

3. 본문 편집

- 본문의 번호체계는 Ⅰ, 1, 가, 1), 가), (1)의 순서로 하며, 그 외 본문의 편집 규정은 다음과 같음.

구분

글자

문단

장제목

HY신명조, 13, Bold

장평 95, 자간 –5, 가운데정렬, 줄간격 170

절제목

HY신명조, 12

장평 95, 자간 –5, 왼쪽정렬, 줄간격 170

항제목

HY신명조, 11.5

장평 95, 자간 –5, 왼쪽정렬, 줄간격 170. 왼쪽여백 10

목제목

HY신명조, 11

장평 95, 자간 –5, 왼쪽정렬, 줄간격 170, 왼쪽여백 20

본문

HY신명조, 10

장평95, 자간 –5, 줄간격 170, 혼합정렬, 들여쓰기 10

각주

그래픽 8.5,

장평95, 자간 –5, 줄간격 130, 혼합정렬, 내어쓰기11.3

4. 표 및 그림 편집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 표에는 < >, 그림에는 [ ]의 기호를 사용

표의 제목은 상단에, 그림의 제목은 하단에 표시

표 설명 및 그림 설명은 각종 주석 및 자료 출처를 제시하는 경우로 주석번호는 1), 2)를 사용

표의 선은 위와 아래 선은 굵은 실선으로, 좌우측 세로선은 선 없음으로, 표가 구분되는 곳은 이중선으 로 처리. 그 외 표 및 그림의 편집 규정은 다음과 같음.

구분

글자

문단

표 제목

그래픽, 9

장평 95, 자간 –5, 줄간격 150, 혼합정렬

표 내용

그래픽, 9

장평 90, 자간 –9, 줄간격 130, 가운데정렬

표 설명

그래픽, 9

장평 90, 자간 –9, 줄간격 130, 혼합정렬

그림 제목

그래픽, 9

장평 95, 자간 –5, 줄간격 150, 가운데정렬

그림 내용

그래픽, 9

장평 90, 자간 –9, 줄간격 130, 가운데정렬

그림 설명

그래픽, 9

장평 90, 자간 –9, 줄간격 130, 혼합정렬

예시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관계

홍길동* · 홍길동**

* 한국대학교 · ** 한국대학교

요 약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불확실성 불관용,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교의 3,4 학년을 목표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총 720부를 표집하여, 최총 39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제어 : 대학생, 진로적응력,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

주저자: 홍길동(OOOO@OOOO.ac.kr)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관계 3

Ⅰ. 서론

대학생 시기는 학교에서 사회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 생애 첫 직업을 결정하는 시기로, 이 시기의 진로전환은 향후 진로에 대한 전반적인 방향과 가치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입시위주의 교육정책으로, 대부분 대학생이 되어서야 자신과 환경에 대한 탐색, 진로정보의 습득 등 자신의 진로를 개발하기 위한 활동을 집약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정철영, 김재호, 최수정, 2011), 이 시기에 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진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이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경제 불황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는 과거와 같이 구체적인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이를 지속적으로 실천하거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일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Krumboltz, 2004; Vianen, Pater, & Preenen, 2009).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적응력

Super(1990)는 전 생애적 관점에서 진로를 바라보고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를 거치는 과정에서 진로 자아개념의 발달을 통해 진로성숙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러나 점차 성인의 진로발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면서(Schlossberg, Troll, & Leibowitz, 1978; Sheehy, 2006), 개인의 특성과 상황이 다양하게 전개되는 성인에게는 일률적인 진로단계가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서 SuperKnasel(1981)은 성인의 개인에 따른 다양한 환경과 역할을 강조하며,성숙의 대안적 개념으로진로적응력을 제시하였다.

<표 Ⅱ-1> 일부 문헌에 제시된 진로적응력의 정의

초점

연구자

정의

변화에 대한

사전 준비도

Super, Thomson,

& Lindeman(1988)

변화하는 일(work)과 근무 여건에 대처하기 위한 능력, 태도, 정보 등의 준비도. (p. 83)

변화에 대한 개인의

내적 통제력

Isaacson & Brown

(1993)

직업 역할의 변화에 직면하였을 때 이를 받아들이고 추구하는 능력. 변화의 흐름을 인지하고 수용하며 상황을 인내하는 것이 중요함. (p. 40)

Gelatt

(1991)

불확실성을 수용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 가고자 하는 방향에 대한 몰입과 유연성, 객관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방식이 요구됨. (p. ii)

Schlossberg

(1984)

모호함과 불확실함을 견디고 운명에 책임을 지는 자율적인 사람의 보유 역량. (p. 87)

환경에 대한

대응 및

영향력

Pratzner & Ashley

(1984)

직무 요건에 적응하고 직무 요건을 또한 전환시킴으로써 개인적인 니즈를 충족시켜 가는 능력. (p. 28)

자료 :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 10p.

[그림 Ⅱ-1] 연구모형

1. 진로적응력

Super(1990)는 전 생애적 관점에서 진로를 바라보고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를 거치는 과정에서 진로 자아개념의 발달을 통해 진로성숙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러나 점차 성인의 진로발달에 대한

가. 진로개념

Super(1990)는 전 생애적 관점에서 진로를 바라보고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를 거치는 과정에서 진로 자아개념의 발달을 통해 진로성숙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러나 점차 성인의 진로발달에 대한

1) 진로개념

Super(1990)는 전 생애적 관점에서 진로를 바라보고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를 거치는 과정에서 진로 자아개념의 발달을 통해 진로성숙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러나 점차 성인의 진로발달에 대한

(1) 진로개념

Super(1990)는 전 생애적 관점에서 진로를 바라보고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를 거치는 과정에서 진로 자아개념의 발달을 통해 진로성숙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러나 점차 성인의 진로발달에 대한

참고문헌

강명숙, 방은령. (2014).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습몰입,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4), 443-470.

교육부. (2014). 2014년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시행 계획. 세종: 교육부.

김계수. (2010).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김나래. (2013). 대학생의 내적통제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관여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나래, 허준경, 이주연, 이기학. (2013). 사회불안이 지각된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논문집, 2013(1), 280~283.

김봉환, 정철영, 김병석. (2006). 학교진로상담(2판). 서울: 학지사.

대입상담센터. (n. d.). http://univ.kcue.or.kr/system.jsp. 2012년 4월 15일 검색.

배병렬. (2014).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오동근. (2011). 실생활에 적용된 분석합성식 분류기법. 한국도서관학회지, 42(2), 151-170. http://scholar.ndsl.kr/schDetail.do?

임은미, 송미숙, 이수진. (2011).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4(4), 1-20.

강혜란, 김기수. (2008). 국내외 발표된 교육정책의 현황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259-277. doi: 10.4275/KSLIS.2011.45.3.259

통계청. (2015). 2015년 6월 고용동향. 대전: 통계청.

한국교육개발원. (2014). 교육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Bateman, T. S., & Crant, J. M. (1993). The proactive compon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A measure and correlat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4, 103−118.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 (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1), 47-57.

Blustein, D. L. (1989). The role of goal instability and career self-efficacy in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5(2), 194-203.

Blustein, D. L. (1997). A context-rich perspective of career exploration across the life role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5, 260-274.

Brown, C., Darden, E. E., Shelton, M. L., & Dipoto, M. C. (1999). Career exploration and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Are there urban/suburban difference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7(3), 227-237.

Cai, Z., Guan, Y., Li, H., Shi, W., Guo, K., Liu, Y., ... & Hua, H. (2015). Self-esteem and proactive personality as predictors of future work self and career adaptability: An examination of mediating and moderating process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6, 86-94.

Jin, J. (2011, May 23) Ya! Korean society. Hankyorae news. Retrieved from http://www. hami.co.kr/4900.html

It is fair to pay draftees less than $100 a month? (2012, February 23) The Korean Times. Retrieved from http://www. koreatimes.co.kr/www/news/special/2011/07/242.html

OECD. (2004). Learning for Tomorrows World First Results from PISA 2003. Paris: OECD.

Pratzner, F. C., & Ashley, W. L. (1984). Occupational adaptability and transferable skills: Preparing today's adults for tomorrow's careers. In C. H. Shulman (Ed.), Adults and the changing workplace: 1985 yearbook of the American Vocational Association(pp. 13-22). Arlington, VA: American Vocational Association.

Herminway, E. (1959).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김형일 역). 서울: 동학사. (원서출판 1956).

Savickas, M. L. (2002). Career construction: A developmental theory of vocational behavior. In D. Brown, & Associate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4th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Savickas, M. (2005). The theory and practice of career construction. In S. D. Brown & R. W. Lent (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