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제2회 청주 파빌리온 대학생 아이디어 공모전
청주 중앙공원 :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새로운 조형・공간을 경험할 수 있는 파빌리온 설치로 다양한 세대가 어울려 즐길 수 있는
장소 만들기
■ 공모전 취지 및 배경
1500년 역사를 간직한 청주의 중심에 위치한 중앙공원은 청주읍성의 병영이
있던 곳으로 한때 다양한 계층의 시민들이 행사를 치르고 난 후 혹은 여가를
즐기기 위해 주로 찾는 휴식공간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노년층이 여가시간을
소비하는 장소로서 역할이 점점 커지면서 다른 계층의 유입이 적은 상태이다.
현재는 도로로 둘러싸여 고립된 장소가 되면서 성안길의 보행 흐름이 단절
되는 결절점이 되어버렸다. 도시 숲이 적은 청주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시민의 중요한 여가공간이며 녹색 휴식공간이지만 실질적인 도시의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다양한 계층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장치, 프로그램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청년층의 아이디어를 공원에 구현함으로써 건축적
조형과 공간을 시민에게 제공하여 건축 문화・복지를 즐길 수 있는 시간을
누리게 하여 공간환경에 대한 인식변화의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중앙공원의 현재와 미래
옛 청주읍성 중심의 중앙공원에는 옛 청주관아의 누각이던 망선루, 병마
절도사영문(충북유형문화재 15호), 조헌전장기적비(충북유형문화재 136호),
척화비(충북기념물 23호)등의 유적이 남아있다. 청주 중앙공원은 청주의 중심에
있다하여 중앙공원이라고도 불리지만 비석이 많아 비림공원이라고도 한다.
고려시대부터 지금까지 약 900년을 버티고 있는 은행나무 ‘압각수(충북기
념물 5호)’도 오랜 역사를 전한다. 조선시대 청주목과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을
감쌌던 청주읍성은 1911년 일제의 의해 허물어져 지금은 둘레 약 1.7㎞의
성벽 중 서쪽 일부 약 40m가 복원되어 있다.
청주시는 “오는 2026년까지 중앙공원 일대 4만1200㎡ 터에 병영마당, 천년의
마당, 동헌마당 등 청주읍성에 관련한 역사공원을 조성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1500년 고도의 역사・문화 정체성을 확보하고, 시민에게 문화・휴식공간을
제공할 것”이라고 한다.
■ 주제 해석과 방향
1. 설치장소인 중앙공원의 활성화에 대한 아이디어 제시
중앙공원은 청주읍성 내 병영이 있던 자리로 1937년 충북도청이 이전하면서
공원으로 조성되어 시민의 쉼터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노인들의
불법 윷놀이 도박과 주취자로 얼룩진 공간으로 인식되면서 다른 계층의 시민들이
꺼리는 장소가 되었다. 시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실효성 있는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실정이다.
공원이 다양한 세대가 어울리는 휴식공간이 되려면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
공원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행위를 담을 수 있는 파빌리온이
되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중앙공원이 미래에 어떤 행위들이 일어나는 장소가 되어야 할까? 다양한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조형물 설치로 공원이 즐거운 장소가 되는 계기가
만들어져 향후 공원이 가져야 할 역할을 가늠해보는 실험의 장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2 . 건축적, 조형적 경험의 제공방안 제시
지방은 수도권과 달리 건축적, 조형적 측면에서 즐길 거리가 부족한 상황
이다. 수도권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외부 전시 등이 이루어지며 그 중 수도권
건축과 학생들의 자발적 기획으로 이루어지는 UAUS의 ‘대학생 건축 아이
디어 전시회’는 다양한 장소에서 색다른 실험을 통해 즐거운 건축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공모를 통해 색다른 조형과 공간을 즐길 수 있
는 기회를 지역사회에 제공하면서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으로
공원의 미적 환경에도 기여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를 기대한다.
3 . 구축에 대한 제작방향 제시
본 프로젝트는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1:1 스케일로 설치하여 시민들이
경험하고 즐길 수 있는 파빌리온을 제작하는 것으로 한 달 정도 존치하며
다양한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파빌리온 설치에 목적을 둔다. 친환경재료,
재활용재료 등을 사용・제작하여 지속가능한 환경을 고려하고 재사용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계기를 제공한다. 또한, 주어진 파빌리온 사이트 범위(넓이 9㎡,
높이 3.6m) 내에서 구조적 안정성, 자연 환경에 대한 내기후성, 효과적 시공
방법 등에 대한 건축적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 제1회 대학생 아이디어 공모전 선정작